커뮤니티

SIS News

SIS News

<칼럼> 학제간 교육에 대하여 II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9회 작성일 25-08-09 20:06

본문

<칼럼> 학제간 교육에 대하여 II
글쓴이: SIS 류찬미 원장

학제간 교육의 기대효과를 나열하면 이렇다.

1.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학제간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복잡한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보도록 격려하고,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시각의 폭을 넓혀준다. 또한 여러 과목이 하나의 주제에 대해 제공하는 지식을 통합해서 생각하도록 돕고, 한 과목만 공부할 때는 놓칠 수 있는 연결점들을 배울 수 있게 해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을 길러 정보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게 된다.

2. 창의성, 혁신적인 발상
한 주제에 대한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아이디어를 통합할 때 학생들은 창의성이 생겨나는 경험을 한다. 그리고 지식의 통합에 의한 창의성은 혁신적인 문제해결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풀기 어려운 문제에 대하여 학제간 공부를 통해 심층적으로 고민하면, 학생들은 고정관념을 깨고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고 탁월한 해결법을 제시할 수 있다.

3. 협동심, 소통능력
학제 간을 넘나드는 공부는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협동하고 소통하도록, 유연하고도 몰입도 높은 환경을 조성한다. 학생들은 또한 팀워크, 의사소통능력, 효과적으로 일하는 기술을 터득하고 다양한 관점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갖게 된다.

4. 넓은 시각,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능력
학제간 교육은 다양한 문제에 대해 넓은 시각을 갖게 해주고 과목 간에 존재하는 ‘연결점’들을 찾게 해준다. 학생들은 문제를 더욱 전체적으로 보는 능력을 가지게 되고 복잡한 문제를 풀 때 필요한 ‘통찰하는 힘’을 얻게 된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면 환경공학, 경제학, 그리고 법이나 정책에 대한 지식이 골고루 풍부해야 하고 ‘통합된 지식에 의한 통찰’이 필요할 것이다.

5. “Real World,” 실제 세상을 살기 위한 대비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는 어떠한 문제도 딱 하나의 영역에 해당되기 힘들다. 학제간 교육은 학생들이 현대의 복잡한 사회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으로 살도록 돕는다. 학제간 교육으로 폭넓은 지식을 보유하게 된 학생들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는, 다방면에서 ‘잘 갖추어진’ 사람이 되고 리더십 포지션에 환영을 받는 사람이 될 것이다.

교육기관도 생명체와 닮은 면이 있어서 리더가 제시하는 방향, 교사진의 역량, 학생들의 특징, 기관이 속해 있는 환경 등에 의해 이렇게 되기도 하고 저렇게 되기도 한다. SIS는 원장과 교사들, 학생들이 같이 한 마음을 품고 같은 곳을 보고 있는 것 같다. 점차 서로 닮아 가서 그런 것인지, 애초에 닮은 사람들끼리 모여서 그런 것인지 모르지만 모두가 우리 교육에 대해 긍정 이상의 열정적인 마음을 갖고 임하니 이보다 더 감사할 수 없다.

여름특강 중에도, 한 달 후 시작될 새학기에도 과목을 넘나들며 선생님들은 즐겁게 가르침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즐겁게 교육에 참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0e508d18530da2949562f4fcce0f1ff8_1754737601_2732.jpg
0e508d18530da2949562f4fcce0f1ff8_1754737601_5703.jpg
0e508d18530da2949562f4fcce0f1ff8_1754737601_7463.jpg
0e508d18530da2949562f4fcce0f1ff8_1754737602_0922.jpg
0e508d18530da2949562f4fcce0f1ff8_1754737602_5986.jpg
0e508d18530da2949562f4fcce0f1ff8_1754737603_0841.jpg
0e508d18530da2949562f4fcce0f1ff8_1754737603_4453.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